패션뉴스 | 2025-05-14 |
래코드, 산업 폐 소재 재해석 예술 전시 ‘리콜렉티브: 머터리얼스’ 진행
텐트·에어백·의료복·섬유 헤라크론 등 기능 다한 소재가 오브제&의류로 재탄생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하 코오롱FnC)이 전개하는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래코드가 산업 폐소재의 순환 가능성과 재해석을 주제로 한 전시 ‘리콜렉티브: 머터리얼스(RE; COLLECTIVE: MATERIALS)’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전쟁, 충돌, 감염 등 위기 상황에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개발됐던 산업소재들이 기능을 다한 뒤에도 새로운 쓰임과 의미를 가질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군용 텐트, 낙하산, 에어백, 의료복, 고강도 섬유 헤라크론 등 고기능 폐 소재들이 래코드의 해석을 거쳐 새로운 형태의 조형물, 오브제, 의류 등으로 재탄생했다.
전시는 총 네 가지 산업 소재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육군 및 공군과 협업해 수거한 군용 텐트 및 낙하산 ▲코오롱인더스트리에서 공급받은 불량 에어백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협업해 회수한 폐의료복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개발한 고강도 아라미드 섬유 헤라크론이다.
래코드는 이 소재들을 해체해 새로운 디자인과 작품으로 재구성했다.
텐트와 낙하산 원단의 거친 환경을 견디는 조직감과 공기와 중력에 반응하는 유연한 특성을 살려 조명 오브제와 의류로 재해석했다.
또한, 에어백의 순간적인 팽창성과 수축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했으며, 동일한 원단으로 제작한 빈백 소파를 설치해 관람객들에게 소재에 대한 이해를 돕게 했다.
의료복의 경우, 병원에서 실제 사용된 후 폐기된 의료복을 모아, 폴리에스터 성분을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이를 단일 소재로 재생산한 과정을 영상 콘텐츠로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는 텍스타일 아티스트 오상민과 협업해 헤라크론 원사를 이용한 설치 작품 ‘소일 투 쏘울(SOIL TO SOUL)’도 선보인다.
이 작품은 방탄복, 고성능 타이어코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쓰이는 고기능 소재 섬유 ‘헤라크론’의 형태와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작가는 헤라크론의 특성을 자연 생태계에서 영양분을 퍼뜨리는 ‘버섯 균사’의 구조와 연결 지어, 이를 입체 직조 기법인 3D 니팅 방식으로 표현했다.
이 조형물은 기술 기반의 섬유가 자연의 순환성과 연결될 수 있다는 상징적인 메시지를 담았다.
또한, 전시 기간에는 래코드의 업사이클링 프로그램인 ‘리테이블 DIY 워크숍’도 함께 운영된다. 관람객은 전시 소재로 사용됐던 원단 일부를 활용해 키링을 제작해 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한편, 전시는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스페이스 이수에서 5월 15일부터 8월 1일까지 진행되며, 입장료는 무료다.
패션엔 권승주 기자
fashionn@fashionn.com
- <저작권자(c) 패션엔미디어, www.fashionn.co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